전체 글37 4. 소화, 5. 소방시설 (소화설비) 4. 소화 (2) 소화의 종류 5) 할로겐화합물 - 억제하는 부촉매 (억제), 화학적 효과 - 공기보다 무거워야 하며, 전기절연성, 증발성 - 유류, 전기화재에 사용 - 전역방출 또는 국소방출방식인 경우 가압가스로 질소 - 할론넘버 순서대로 C, F, Cl, Br - 1301 = CF3 Br - 할론 1301은 오존층을 가장 많이 파괴하지만, 소화효과가 가장 좋고, 독성이 가장 낮고, 공기보다 무겁다 - 상온에서 1301, 1211은 기체, 2402는 액체 - 할론 2402를 방사하는 것은 0.1 MPa 이상, 할론 1211을 방사하는 것은 0.2 MPa 이상, 할론 1301을 방사하는 것은 0.9 MPa 이상 - 가압용 가스용기는 질소가스.. 2025. 5. 18. 4. 소화 4. 소화 (소화제의 종류) (2) 소화제의 종류제거 소화, 질식소화, 냉각소화, 억제 소화, 화성 소화 1) 분말소화제 - 질식소화효과, 부촉매 효과, 이산화탄소, 질소 - 분말의 종류 - 1종분말소화약제는 비누화 반응, 질식 (CO2 + H2O), 억제소화 (부촉매, NaCO3), 열분해에 따른 냉각 효과 - 1,2,3종 모두 물에 나오며, 1,2종은 이산화탄소, 3종은 질식소화가스 (HPO3, 메타인산), 부착성막을 만듦 (방진효과) 2) 물소화약제 - 냉각소화, 구하기 쉽고 인체에 무해 - 증발잠열이 크고 냉각효과가 크고 비열이 크다. - 겨울에 얼기 쉽고 강화액소화제(탄산칼륨, K2CO3, 어는점을 낮춤, pH12 이상, 어는점이 낮.. 2025. 5. 17. 2. 화재, 3 폭발, 4. 소화 (소화의 종류) 2. 화재 (1) 화재의 종류 - 일류전속 - 발화기 → 성장기 (연료지배형) → 플래시오버 → 최성기 (저온장기형) → 감쇠기 - 고온 단기형 (높은 온도, 목조 건축물), 저온장기형 (낮은 온도, 내화건축물) (2) 화재의 특수 현상 1) 유류탱크 관련 (보일오버-유류탱크 화재 시 파손된 밑면에 고여 있는 물이 열을 받아 증발하면서 상부의 유류를 밀어 올려 분출하는 현상, 슬롭오버) 2) 가스탱크 관련 (블레비-액화가스가 탱크 내부에서 가열되어 증기가 팽창하며 강도가 약해진 탱크 부분에서 폭발하는 현상 3) 건축물 관련 (플래시 오버- 성장기와 최성기 사이의 현상으로 건축물 화재 시 미연소 가연물이 열에 분해되어 가연성 가스를 발생시키고, 이것이 산소와.. 2025. 5. 16. 1. 연소 (연소의 3요소, 산소공급원, 기타 개념) 1. 연소 - 가연물이 산소 등의 공기 속에서 타는 현상 (연소 속도는 산화속도) (1) 연소의 3요소 (가연물, 산소공급원, 점화원) 1) 가연물 가발연상전면활활 - 몰재, 석탄, 플라스틱 주로 산화되기 쉬운 물질 - 가연물이 되기 쉬운 조건 1. 발열량이 클 것 = 에너지를 많이 뿜어냄 2. 열전도율이 작을 것 (열전달이 안되야 온도가 상승) 3. 산소 친화력이 클 것 (연소는 산소와의 반응으로 산소와 잘 만나야 한다. 4. 표면적이 넓을 것 5. 활성화 에너지가 작을 것 6. 화학적 활성도가 클 것 7. 연쇄반응을 일으킬 것 2) 산소공급원 - 공기 중의 산소, 제1류, 제6류 위험물은 모두 산화성 (다른 .. 2025. 5. 15. 10. 탄소화합물 (유/무기화합물, 탄화수소, 탄화 수소 유도체) 10. 탄소화합물 (1) 유/무기화합물 - 적철광 (Fe2O3), 자철광 (Fe3O4) - 자철광 생성하는 방법 3Fe + 4 H2 O → Fe3O4 + 4H2 - 반감기 (2) 탄화수소 - 포화탄화수소, 불포화탄화수소 - 포화탄화수소는 찬소롸 탄소가 단일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는 탄화수소로 알케인 (C n H 2n+2) - 불포화탄화수소는 단일 결합 외의 결합을 가진 탄화수소 - 포화탄화수소 (~에인), CH4 메테인, 에테인, 프로페인 (프로판) - 구조이성질체 (분자식은 같으나 원자가 결합하는 순서가 달라 물리, 화학적 성질이 다른 분자 - 광학이성질체 (분자식은 같으나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지며, 서오 거울상의 구조를 갖는 분자 - 불포화.. 2025. 5. 14. 9. 전기화학 (화학전지, 전지의 종류, 전기 분해) 9. 전기화학 (1) 화학전지 - 전자의 자발적 이동 - 금속의 이온화 경향의 차이를 이용한 것이고 이온화 경향이 큰 물질은 전자를 내놓고, 양이온으로 변해 용액으로 들어가고, 이온화 경향이 약한 금속은 전자를 얻게 된다. - 전자를 잃는 산화반응을 하는 곳이 (-) 극이고, 환원 반응이 일어나는 곳은 (+) 극이다. 이온화경향이 큰 금속 (-) 극 (2) 전지의 종류 - 볼타전지 (-) Zn/ H2SO4 / Cu(+) - (-) 극에서 이온화 경향이 큰 Zn은 전자를 잃고 (산화가 일어난다). Zn2+ 이온이 되어 묽은 황산 속으로 들어가고 전자는 연결된 도선을 통해 (+) 극으로 이동하여 H+와 결합하여 환원이 일어난다. - 연결된 도선을 통해 (-) 극에.. 2025. 5. 13. 이전 1 2 3 4 5 6 7 다음